가치판단은 구체적으로 마르크스주의의 핵심적인 본질은 “구체적 조건, 구체적 상황에 대한 구체적 분석”이다. 관련하여, 레닌은 다음과 같은 멋진 말을 남겼다. 추상적인 진리 따위는 없다. 진리는 항상 구체적이다. There is no such thing as abstract truth. Truth is always concrete. 내 지적 여정에서 만난 가장 유익한 한 .. 교육을 말한다 2018.07.12
자유에 관하여 사진은 빗속에서 폐지를 줍다가 빗물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주저앉은 노인의 모습이다. (서울신문 정연호 기자의 작품) http://v.media.daum.net/v/20180321204909960?rcmd=rn 위의 기사에 따르면, 노인들이 수레 한가득 폐지를 모아 팔면 1천원을 받았는데, 이젠 폐지 값이 폭락해서 500원밖에 못 받는.. 삶과 교육 2018.07.12
친목회장 친목회장을 맡았다. 작년 회장은 2년 연속으로 해서 올해는 다른 사람에게 넘기려 하는데 아무도 맡지 않으려 한다. 회의장 분위기가 싸늘해진다. 적막을 깨고 교무부장이 나를 추대하고 연구부장이 재청했다. 두 분은 2월말부터 내게 제안을 했던 터였다. 승진 욕심도 없이 학교에서 가.. 교실살이-1 2018.07.12
교육적으로 장악하기 오늘 처음으로 반항하는 한 녀석과 맞닥뜨렸다. 첫날부터 계속 심기를 어지럽히던 전형적인 주의산만 형 꼴통인데, 영어수업 시간에 내게 딱 걸렸다. 명백히 자기가 잘못한 상황인데 잘못을 인정하지도 않고, 뒤틀린 심사에 내가 내준 알파벳 쓰기 과업도 이행하지 않으며 흡사 ‘나는 .. 교실살이-1 2018.07.12
첫 만남 낯선 아이들과 적응해가야 한다. 낯섦에 대한 두려움은 내가 아이들에게 품는 것보다 아이들이 내게 품는 것이 훨씬 크다. 이 어색함을 어떻게 풀어갈까 하는 것도 전적으로 내게 달려 있다. 내가 선택할 수 있는 전략은 크게 두 가지이다. - 초반에 기선 제압하기 VS 처음부터 좋은 인상 .. 교실살이-1 2018.07.12
이론은 좌경적으로 실천은 우경적으로 <이론은 좌경적으로 실천은 우경적으로> 흔히 교육을 전문직이라 합니다. 교사에게 전문성은 생명과도 같다 하겠습니다. 교사의 전문성은 교육이론에 의해 뒷받침 됩니다. 교육을 뒷받침하는 기초 이론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교육철학, 교육사회학, 교육심리학. 저는 이 중 가장 중.. 삶과 운동 2018.07.12
연대의 중요성 항해술의 발달과 아메리카대륙의 발견에 힘입어 제국주의가 팽창해갈 때, 유럽의 노예상인들은 아프리카의 흑인들을 대량으로 사냥해서 노예로 팔았다. ‘사냥’이란 수사는 결코 시적인 표현이 아니다. 백인들은 나무 위에 숨어 있다가 지나가는 노예에 그물망을 던져 포획했다. 어른 .. 삶과 운동 2018.07.12
바빠서 책 읽을 시간이 없다? 책은 마음의 양식이다. 동물은 위장에만 양식을 채우면 되지만 인간은 영혼에도 채워야 한다. 그러므로, 책을 멀리하는 것은 인간다운 삶을 멀리하는 것과도 같다. 흔히 ‘늘 책을 읽어야지’ 생각하지만 바빠서 책 읽을 시간이 없다고 한다. 말이 안 된다. 바쁘다고 물 안 마시나? 바쁘다.. 삶과 교육 2018.07.12
30년 의사와 30년 교사의 차이는 30년간 수술을 집도해온 전문의는 환자들에게 환영을 받지만, 30년간 학생을 가르쳐온 교사는 학부모들이 기피한다. 그 이유가 뭘까? 이걸 단순히 대중의 편견의 문제로 치부해버리면 곤란하다. 현실 속에서 어떤 문제가 생겨날 때는 필연적인 이유가 있다. 이 인과관계에 주목하지 않으.. 교사가 시민에게 2018.06.26
다문화 관련 다부는 한 학년에 한 반 밖에 없어서 이런 경험을 못하는데, 큰 학교에 오니 학생명부라는 것을 접하게 된다. 학생명부 비고란에 적힌 다음과 같은 문구들을 보면서 느낀 단상을 적어 본다. - 다문화, 기초학습부진, 기초교육급여, 한부모(모자가정) 내 생각으로, ‘기초학습부진’은 인수.. 교육을 말한다 2018.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