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41

유대인과 자본주의, 그 기묘한 공동의 운명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접근

은행을 뜻하는 영단어 bank의 유래가 흥미롭다. bank는 라틴어 banco에서 유래한다. 방코는 ‘탁자(책상)’란 뜻이다(bench와 어원이 같다). 이탈리아 베니스에는 ‘Banco Rosso Tours’라는 여행상품이 있는 모양이다. Banco Rosso는 ‘붉은 책상’이란 뜻인데, 그림에서 유대인 복장을 한 남자가 붉은 책상에 앉아 있다(관광객들에게 전시할 목적으로 만든 밀납인형일 것 같다). 그렇다. 이 낱말은 유대인과 관계있다. 해상교통이 발달한 베니스(베네치아)는 중세 유럽 무역의 중심지였다. 바빌론 유수(幽囚) 이후 많은 이스라엘인들이 유럽 각지로 퍼졌는데(이를 ‘분산’이라는 뜻으로 ‘디아스포라diaspora’라 일컫는다), 그리스와 로마 지역에 많이 살았다. 알다시피 유럽사회에 기독교가 ..

이론과 실천 2017.02.27

혁신학교의 문화 충격

이른바 혁신학교에 처음 근무하는 교사들은 낯선 환경에 적응해 가는 과정에서 어떤 홍역을 치르곤 한다. 이것은 일종의 ‘문화 충격 cultural shock’이라 할 성질의 것인데, 교사 중심의 권위적인 기존 학교시스템에 익숙해 있다가 교사와 학생이 거의 수평적으로 만나는 “혁신적인” 분위기에 거부감을 갖게 된다. 흥미로운 것은, 이러한 문화 충격은 일반 교사들은 물론 진보연하는 (이를테면) 전교조교사들도 겪는 점이다. 내가 다부초에 올 때도 그랬다. 이전에 자기 의지와 무관한 인사발령으로 이 학교에 근무하게 된 교사들이 모두 1년 만에 다른 학교로 옮긴다는 말을 들었을 때만 해도 속으로 ‘그 분들이 보수적인 탓에 혁신적인 이 학교의 분위기에 적응을 못하는 것이려니’ 생각했다. 그런데 이런 이치가 내게도 ..

교육을 말한다 2017.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