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키라 앤 더 비 [아키라 앤 더 비 Akeela And the Bee] 교육영화인데, 열악한 가정에서 자란 흑인 소녀가 영어단어 스펠링 맞추기 대회(대회 이름이 the Bee이다)에 출전하여 유복한 가정 출신의 쟁쟁한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전국 최고의 영예를 안는다는 줄거리이다. 오락 영화와 거리가 먼데 의외로 아이들이 .. 필인의 영화 이야기 2017.02.26
남과 여 전도연 주연의 [남과 여]를 봤다. 혼외연애(이른바 ‘불륜’)를 주제로 한 영화 가운데 내가 본 것 중 최악이다. 사실, 혼외연애는 한 쌍의 ‘남과 여’가 연출할 수 있는 가장 저급한 행동양식일 수도 있고 반대로 가장 숭고한 것일 수도 있다. 이런 이유로 혼외연애를 다룬 문학예술작품 .. 필인의 영화 이야기 2017.02.26
교직사회의 회의문화 우리 학교엔 다른 학교에 있는 것이 없고, 반대로 다른 학교에 없는 게 있는 경우가 많다. 이를테면, 우리 학교엔 ‘치맛바람’이 없는 대신 ‘학부모의 참여도’는 굉장히 높다. 교사에 따라 다부초의 이러한 진풍경을 불편해 하는 교사가 있을 수도 있다. 사실, 학부모가 학교교육에 관.. 다부초 이야기 2017.02.26
놀이와 학습 우리 학교에서 3학년이 된다는 것은 고학년 형아들이랑 같이 축구를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집단의 규모에 따라 구성원 사이의 관계를 맺어가는 방식에서 큰 차이를 보이니 이른바 ‘집단 역학 group dynamics’이다. 큰 학교와 달리 소규모 학교에선 연령을 초월하여 선후배 학생 사이에 끈.. 다부초 이야기 2017.02.26
플레전트다부빌 오늘 운동장 트랙 옆 보도블록에 쓰레기가 떨어져 있다. 누군가가 과자를 먹고 봉지를 아무렇게나 버린 것이다. 다른 학교에서 이런 현상은 흔하디 흔하지만 , 다부에선 보기 드문 장면이다. 그런 면에서 이건 “사건”이다. 이렇게 사회적으로 무책임한 행위는 다부공동체에서 있을 수 .. 다부초 이야기 2017.02.25
코드화 - 탈코드화 <교실을 위한 프레이리, 사람대사람 옮김, 살림터, 2015> 377쪽~388쪽 인용 대중문화운동(The Popular Culture Movement)이 설립한 문화서클에서 프레이리와 동료들은 민족주의, 개발, 문맹, 민주주의 등의 주제에 대해 토론했다. 그들은 이러한 주제들을 그림과 슬라이드를 통해 소개했으며, 비.. 파울루 프레이리 2017.02.25
노가다와 노작의 차이 콩밭 매는 아낙네가 아니다. 연못 가꾸는 아이들이다. 최근에 만든 연못 둘레에 수변 식물을 심고 있는 모습이다. 콩밭 매는 아낙네와 연못 가꾸는 아이들의 차이는 “노가다와 노작의 차이”로 요약된다. 박정희 시절에 우리는 수시로 방천에 나가 풀밭에 쪼그리고 앉아 잡초를 뽑곤 했.. 다부초 이야기 2017.02.21
좋은 세월은 오고 있건만... 교육장실에 초대받았다. 전교조 지회장님을 비롯 몇몇 운영위원들이 교육장님과 교육지원과장님 그리고 장학사님들과 함께 하고 있다. 이 품위 있는 원탁을 ‘협상테이블’이라 일컬어야 할지 모르겠지만, 늦으나마 우리를 파트너로 생각하고 이 자리를 만들어주신 교육청 관계자 분들.. 삶과 운동 2017.02.21
예술이 어떤 사회적 메카니즘에 의해 존재하는가? # 예술이 어떤 사회적 메카니즘에 의해 존재하는가? ‘예술과 사회구조와의 관계’ 이는 마르크스주의의 오랜 테제인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와의 관계와 일맥상통합니다. 상부구조로서의 예술은 하부구조(경제구조를 근간으로 하는 사회 시스템)에 의해 결정된다는...... 너무도 진부한 명.. 이성과 감성 2017.02.20
값을 구하시오? 나한텐 익숙한 말인데 아이에겐 무척 혼란스러운가 보다. 수업 마치고 방과후 프로그램 기다리면서 숙제를 미리 하던 아이가 혼잣말로 궁시렁 거린다. ‘값을 구하시오’라는 말이 뭐야??? 내가 앞으로 불러냈다. 뭐니? 책 갖고 와 보렴. ~~~의 값을 구하시오. ‘값’이란 표현보다는 ‘답.. 아이 속 들여다보기 2017.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