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은 관계다 교육에 대해 많은 학자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를 내리고 있습니다만, 어떠한 식이든 교육은 결국 “사람을 성장시키는 것”으로 요약될 겁니다. 교사의 교육행위는 엄연한 ‘노동’입니다. 그런데 교육노동은 노동의 주체와 노동의 객체가 모두 사람이라는 점에서 특수성을 갖습니다.. 교사가 교사에게 2014.10.09
아이들 덜 미워하기(2) 교육실천 과정에서 교사는 자신을 성가시게 하는 수많은 악동을 만납니다. 교사의 삶은 아이들을 떠나 생각할 수 없는데, 교직이 힘들다 하는 것은 아이들과 부대끼는 것이 힘들다는 말과 다르지 않을 겁니다. 교육의 본질은 사랑이지만, 교사가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이나 사랑의 그릇은 .. 교사가 교사에게 2013.12.23
아이들 덜 미워하기 흔한 말로 교육의 본질은 사랑이라 합니다. 교사는 학생들을 사랑으로 대해야 합니다. 하지만 교직이 성직인지는 모르지만 교사는 성자일 수 없습니다. 교육자이기 이전에 한 인간으로서 교사는 보통의 사람들이 품는 희로애락의 감정을 그대로 갖기 마련입니다. 그리고 교육학 서적이 아동의 본성에 대해 뭐라고 설명하건 간에 교사는 현실 속에서 수많은 악동을 만납니다. 교사의 일상은 이들과 벌이는 치열한 전투로 점철된다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겁니다. 이상과 현실의 이 같은 괴리에서 파생되는 교육계의 오랜 이슈가 체벌문제죠.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소한의 체벌은 불가피하지 않은가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체벌은 그 자체로 교육적 정당성을 갖지 못할뿐더러 지금의 사회 분위기상으론 교사-학생 간의 갈등사태에서 교사의.. 교사가 교사에게 2013.11.27
교사와 학생 사이 청소 마치고 걸상을 내리지 않고 그냥 간다. 공동체 무엇을 지향하는 내 교육철학과 맞지 않기에 청소 당번이 모든 아이들의 걸상을 내려주는 것으로 하자고 했더니, 힘들다고 3학년 때 모두 이렇게 했다고 데모하길래 “좋다. 일단 이렇게 해보자”라고 잠정적으로 결정을 내렸다. 생각.. 교실살이-1 2012.03.12
초등 일제고사, 폐지되어야 하는 이유 -1 계량화 즉, 점수로 환산되는 모든 시험은 줄세우기(서열화)와 동전의 양면을 이룬다. 입학시험이나 입사시험처럼 ‘선발’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초등학교의 중간고사나 기말고사의 경우에도 점수화 되는 순간 서열매김은 불가피하다. 교사는 줄을 세우지 않아도, “나는 전과목 5개 틀.. 교육을 말한다 2011.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