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 교육/삶과 공부

노동에 대한 소박한 자세

리틀윙 2016. 4. 11. 10:05

비오는 날에는 어김없이 일찍 출근하셔서 차량진입금지 라인을 치고 교문 앞에서 교통안전 도우미 직무를 수행하신다. 8시도 안 되었는데, 아이들 통학버스는 830분이 되어야 도착하건만 왜 저리 일찍 서 계시는 걸까? 아마도 선생님들 차량까지 안전하게 안내하실 생각이신가 보다. 그런데 오늘 날씨 상당히 춥다. 빗속에 걸쳐 입은 저 우의 속에 따뜻한 옷은 챙겨 입으셨는지 걱정이다.

 

 

 

어르신은 작년부터 이 학교에서 일하고 계시는데, 몇 년 전에 상처하고 혼자 계시는 당신의 입장에선 아마 이 일을 통해 경제적 만족은 물론 자아실현의 긍지와 흥미마저 느끼시는 것 같다. 주황색 방향지시봉을 들고 우리 운전자들에게 사인을 건네실 때는 왠지 버킹검 궁전 따위의 근위병에게서 볼 수 있는 기풍이 느껴진다.

 

어르신이 받는 월급은 70만원 밖에 안 된다. 그러나 어르신은 자기 노동에 비해 이 돈이 크게 느껴지는 모양이다. 젊은 시절 마을 근처에 있는 채석장에서 돌 짊어지고 나를 때에 비하면 이 일은 호사라 하신다.

사실, 어르신에게서 볼 수 있는 이러한 시대착오적(?) 경제관념은 그리 낯선 현상이 아니다. 멀리 갈 것도 없이 딱 우리 아버지 어머니의 모습이다. 70만원이라는 돈이 엄청 크게 느껴지는 이 분들은 그럼에도 자식은 물론 어려운 이웃을 위해 기꺼이 나눌 마음 씀씀이가 있다. 이 분들에게서 천민자본주의에 찌든 현대인의 지독한 개인주의나 탐욕 따위는 엿볼 수 없다. 말하자면 이 분들은 자본주의이전의(precapitalist) 인성의 소유자들이시다.

 
 
 

현재의 대한민국 사회에는 세 종류의 인류가 혼재되어 살고 있다. 19세기 공동체적 소박한 심성의 백성인 어르신들과, 어릴 적 적절한 가난을 경험하면서 물질적 풍요의 소중함을 아는 20세기형 천민자본주의 시민인 우리 세대, 그리고 21세기의 나보다 젊거나 어린 인류는 뭐라 일컬어야 할지 모르겠다. 지구상에 이런 독특한 사회가 둘도 없을 것이다.

 

19세기 인류와 20세기 인류 사이의 세대차이 때문이었을까? 어릴 적 나는 아버지가 무척이나 싫었다. 그리고 그 때 내 입장에선 그럴 만한 이유가 있었다. 그러나 마르크스를 공부하고 나서야 비로소 나는 아버지를 이해할 수 있었다. 인간은 시대의 인간이다. 마르크스의 표현으로는, 인간의 본질은 사회적 관계의 총화(ensemble of social relationship)이다.
 
경제적으로 불우한 시대에서 훌륭한 전인격을 가진 사람은 만들어지지 않는다. 시대의 불행은 필연적으로 개인의 불행을 파생시키고, 그 불행이 빚어짐에 있어 결정적인 것이 경제적 요인이라는 것이 마르크스주의의 핵심이다. 초근목피로 연명하던 일제강점기의 남성에게 인문학적 소양을, 건강한 여성주의의 시각을 기대할 수 없다. 학교의 아이들을 봐도 그렇고, 가난한 환경에서 성장한 사람이 대체로 소심하고, 비겁하고, 정직하지 않고, 외모에 호감이 덜 가고, 욕설 구사 빈도가 높고, 폭력적이고, 지성과 거리가 멀다.
 
그러나 이 모든 열등한 특질에도 불구하고 19세기형 어르신들이 지닌 훌륭한 자질이 있다. 그것은 저 사진 속의 어르신에게서 보듯이 노동에 대한 소박하고도 정직한 자세다.
 
내 이름에 비(雨)가 들어가 있어서일까, 나는 비가 오면 감성의 작동이 활발히 인다. 그리고 비를 사랑한다. 빗속의 저 어르신을 보면서 돌아가신 아버지를 생각한다.